개발/파이썬 업무 자동화

파이썬 기초 3 - 리스트, 튜플, 딕셔너리

이게될까 2024. 2. 17. 19:07
728x90
728x90

리스트 == 목록

리스트

각각의 요소들은 ,로 구분! -> [ 1,2,3,4,5]

인덱스!

index는 어디가든 코딩에서 자주 나오는 단어이므로 느낌을 확실하게 가져가야 한다.

파이썬에서 인덱스의 시작은 0이다. 대부분은 0으로 시작하지만 matlab은 1부터 시작한다.

a= [1,2,3,4,5]

print(a[0]) # 1이 출력된다.
print(a)

코드는 이렇게 작성할 수 있고, 여러 개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하고 싶을 때 사용하면 된다.

a= 1
b= 2
c= 3
d= 4
e= 5
f = a+b+c+d+e
print(f)

이런 반복적인 과정에서 리스트는 효율적이다!

a = [0,0,0,0,0]
b = 0
for i in range(0,5,1):
	a[i] = int(input())
    b = b + a[i] # b+=a[i]

print(b)

 

이렇게 작성하면 위의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.

반복의 횟수가 점점 커질수록 리스트의 효과는 점점 더 커진다.

튜플

튜플은 값을 수정할 수 없다!!!!!

a= (1,2,3,4,5)

#a [0] = 2 #이건 오류난다!!!!!!!!1

print(a) # 요소 하나하나 출력된다!

바꿀 필요가 없는 값, 바뀌면 안되는 값들을 저장할 때 사용한다.

딕셔너리

값에 접근할 때는 키에 접근하면 된다!

a = {'이름': 'ㅎㅇ' , '학번' : '123456', '전공' : '혼종'}

print(a)

# 값을 추가하고 싶다면!
a['핸드폰 번호'] = '123-1234-1234'

print(a) # 값이 추가되어 출력된다.

print(a['이름'])# 이름 출력!
print(a.get['이름']) #위와 똑같은 방식이다!

 

없는 값을 출력하려고 하면 오류가 난다!

 

728x90